스킵네비게이션

전공교과목소개

전공기초

  • 스포츠 윤리(Sports Ethics) <1-1-3-3>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윤리문제와 그 논의형식을 이해하고 윤리적인 성찰을 갖는데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스포츠에서의 윤리문제 뿐만 아니라, 철학적인 분석적 사고를 가지는데 학습의 목표를 둔다. 윤리적 문제에 있어서 학문적이고 이론적 접근을 통해 실제적인 가치와 윤리적 행위를 이해함으로써 체육·스포츠의 올바른 능력을 기른다.

  • 스포츠지도기초Ⅰ (Fundamentals of Sports Coaching) <1-1-3-3>

    스포츠지도사 실기과목으로서 종목별 기본동작의 숙달 및 습득에 중점을 둔다. 자격증 취득을 위해 필요한 종목들의 기본 및 응용기술을 습득해서 스포츠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스포츠지도 능력을 높인다.

  • 웨이트트레이닝 기술의이해Ⅰ (Understanding Weight Training Techniques) <1-1-3-3>

    웨이트트레이닝에 관한 기존 지식을 이해하고, 신체운동의 현상을 관찰, 측정하여 그 결과에 대한 분석,평가를 통해 지도자로서 현장에 활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특수체육론 (Special Physical Education Theory) <1-1-3-3>

    특수체육 이해, 프로그램, 장애유형별 특성, 조직과 관리, 장애인 스포츠,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현장지도에서의 문제점 등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의 특수체육 지도전략에 대한 능력을 기른다.

  • 사회복지학개론(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1-1-3-3>

    사회복지의 입문으로서 사회복지의 개념과 방법론, 분야 등을 소개하고 사회복지의 역사 및 사상을 고찰케 하여 사회복지의 전문적 위치와 전망을 탐색케 한다.

  • 성인학습자대학생활설계 (College Life Design for Adult Learners) <1-1-3-3>

    직업과 직장의 선택은 졸업 후 장래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이다. 본 강좌는 1학년을 대상으로 직업과 인생에 관한 올바른 마인드를 진작시키고, 진로설계와 올바른 직업관 형성에 중점을 둔다.

  • 스포츠 교육학(Sports Pedagogy) <1-2-3-3>

    스포츠교육(학교체육, 사회체육, 전문체육)의 역사적 변천과정, 개념, 목표, 내용 및 교수 방법 등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을 통하여 스포츠 교육현장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함으로써 스포츠 현장에서 효율적인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는 역량을 체득한다.

  • 스포츠지도기초Ⅱ (Fundamentals of Sports Coaching) <1-2-3-3>

    스포츠지도사 실기과목으로서 종목별 기본동작의 숙달 및 습득에 중점을 둔다. 자격증 취득을 위해 필요한 종목들의 기본 및 응용기술을 익히고, 실기능력을 함양한다.

  • 웨이트트레이닝 기술의이해Ⅱ (Understanding Weight Training Techniques) <1-2-3-3>

    웨이트트레이닝에 관한 기존 지식을 이해하고, 신체운동의 현상을 관찰, 측정하여 그 결과에 대한 분석,평가를 통해 지도자로서 현장에 활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유아체육론 (Theory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1-2-3-3>

    유소년의 발달과정에 따른 스포츠 프로그램을 지도 평가를 수행 할 수 있는 지도자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 유소년의 발육, 발달, 행동양식 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유소년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및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을 지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elfare) <1-2-3-3>

    사회복지사 활동을 주요 장으로서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역사회가 갖는 문제들에 대해서 사회복지사가 어떻게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실천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배양시키는 것에 기본 목표를 둔다.

전공핵심

  • 스포츠 사회학(Sports Sociology) <2-1-3-3>

    스포츠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을 사회학의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 스포츠에서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현상들에 대한 총체적이고, 개방적인 관점을 형성하여 스포츠 현상을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배양한다.

  • 스포츠지도실기Ⅰ (Practical Skills in Sports Coaching) <2-1-3-3>

    스포츠지도사 실기과목으로서 종목별 기본 동작의 숙달 및 선수들의 체력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기초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스포츠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실기지도능력과 방법을 습득함으로서 유능한 체육지도자의 자질과 역량을 기른다.

  • 웨이트트레이닝 실기Ⅰ (Practical Skills in Weight Training) <2-1-3-3>

    건강증진, 신체활동능력향상, 노화방지, 성장발달 및 체형의 변화를 목적으로 인체의 근육을 이해하고 근체력 향상 및 건강증진을 위한 올바른 훈련방법을 익혀 전문 스포츠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지도력을 배양한다.

  • 노인체육론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for the Elderly) <2-1-3-3>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한 노화를 위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신체활동을 이해하고 이에 관한 전문지식의 능력을 배양한다.

  •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2-1-3-3>

    사회복지 조직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사회복지현장에서 효과적·효율적인 조직 관리와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를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케 한다.

  • 한국체육사(History of Korean Sports) <2-2-3-3>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우리나라의 체육과 동서양에 이르기까지 체육인의 열정과 체육문화의 변청과정을 살펴보고 그 모두를 인류역사에 영원히 남을 의미있는 신체활동의 기록으로 남겨 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 스포츠지도실기Ⅱ (Practical Skills in Sports Coaching) <2-2-3-3>

    스포츠지도사 실기과목으로서 종목별 기본 동작의 숙달 및 선수들의 체력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기초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스포츠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실기지도능력과 방법을 습득함으로서 유능한 체육지도자의 자질과 역량을 기른다.

  • 웨이트트레이닝 실기Ⅱ (Practical Skills in Weight Training) <2-2-3-3>

    건강증진, 신체활동능력향상, 노화방지, 성장발달 및 체형의 변화를 목적으로 인체의 근육을 이해하고 근체력 향상 및 건강증진을 위한 올바른 훈련방법을 익혀 전문 스포츠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지도력을 배양한다.

  • 스포츠마사지 (Sports Massage) <2-2-3-3>

    스포츠마사지의 기본기법, 전문기법, 응용기법을 습득하여 근골격, 신경, 순환계통을 원활하게하고 피로회복 및 통증을 완화시켜 재활에 도움을 주며 최적의 신체조건을 유지, 증진할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장애인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the Handicapped) <2-2-3-3>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현황, 문제점, 대안을 검토하고 동시에 장애인을 위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직업재활 등에 대해 사회사업가로서의 역할과 원조방법 등에 대한 연구를 한다.

전공심화

  • 스포츠심리학(sports psychology) <3-1-3-3>

    스포츠심리학의 기초적 이론과 스포츠 현장에서 대두되는 문제의 특성을 심리학적 입장에서 규명하고 이를 정립할 수 있는 전문지식을 기른다.

  • 스포츠지도실기Ⅲ (Practical Skills in Sports Coaching) <3-1-3-3>

    스포츠지도사 실기과목으로서 종목별 기본 동작의 숙달 및 선수들의 체력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기초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스포츠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실기지도능력과 방법을 습득함으로서 유능한 체육지도자의 자질과 역량을 기른다.

  • 트레이닝방법론Ⅰ (Training Methodology) <3-1-3-3>

    스포츠나 체력단련에서 요구되는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운동 강도와 주기를 이해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훈련방법의 기법을 통해 개개인의 기술향상에 필요한 효과적인 훈련방법과 지도능력을 배양한다.

  • 스포츠테이핑 (Sports taping) <3-1-3-1-2>

    스포츠 테이핑은 부상의 부위에 따라 탄력테이핑과 비탄력 테이핑을 활용하여 급성손상, 만성손상 그리고 교정 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스포츠테이핑의 다양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신체부위별, 목적별 처치방법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실습을 통해 처치기술을 향상시킨다.

  •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elfare Practice Theories) <3-1-3-3>

    사회복지실천을 위한기초 지식, 즉 사회복지 실천의 철학과 가치, 통합적 접근법·면접론, 사회복지실천관계론 및 과정론에 대한 이해를 습득한다.

  • 스포츠영양학(Sports Nutrition) <3-2-3-3>

    체력과 영양과의 관계, 에너지 소비량과 섭취량의 계산법, 각종 영양소의 활동, 스포츠맨으로서의 일상기, 합숙기, 트레닝기, 컨디션 조절기의 합리적인 영양의 섭취방법과 시합전, 시합중, 시합 후의 영양섭취 방법과 체중조절법 및 피로와 영양에 관한 전문지식을 기른다.

  • 스포츠지도실기Ⅳ (Practical Skills in Sports Coaching) <3-2-3-3>

    스포츠지도사 실기과목으로서 종목별 기본 동작의 숙달 및 선수들의 체력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기초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스포츠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실기지도능력과 방법을 습득함으로서 유능한 체육지도자의 자질과 역량을 기른다.

  • 트레이닝방법론Ⅱ (Training Methodology) <3-2-3-3>

    스포츠나 체력단련에서 요구되는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운동 강도와 주기를 이해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훈련방법의 기법을 통해 개개인의 기술향상에 필요한 효과적인 훈련방법과 지도능력을 배양한다.

  • 구급및응급처치 (First Aid and Emergency Care) <3-2-3-3>

    일상생활 및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 적용에 중점을 둔 수업으로 심폐소생술(CPR)을 포함한 기초적인 응급처치술, 인체 부위별 특수 상해(injury)에 대한 응급처치법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적용함으로써 건강운동관리 또는 운동전문가로서 요구되는 건강운동지도 역량 및 재활트레이닝지도 역량을 배양한다.

  • 청소년복지론(Youth Welfare) <3-2-3-3>

    청소년의 발달과정을 사회심리적으로 이해하고 청소년문제와 복지에 대한 이론과 실천 영역을 이해하고 학습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전공응용

  • 전문스포츠지도Ⅰ (Professional Sports Coaching) <4-1-3-3>

    각 종목별 엘리트스포츠지도자 육성을 중심으로 유소년, 노인(실버), 장애인(특수체육) 등의 지도대상을 세분화하여 보다 전문적인 스포츠지도자의 능력을 기른다.

  • 체력육성법 (Methods for Developing Physical Fitness) <4-1-3-3>

    기초체력 발달에 필요한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각종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기초체력 양성법을 이론과 실제를 통한 능력을 기른다.

  • 전문스포츠지도Ⅱ (Professional Sports Coaching) <4-2-3-3>

    각 종목별 엘리트스포츠지도자 육성을 중심으로 유소년, 노인(실버), 장애인(특수체육) 등의 지도대상을 세분화하여 보다 전문적인 스포츠지도자의 능력을 기른다.